유용한 정보들

김치, 지역별 김치종류, 지역별 김치특징

EUDORRA 2022. 6. 3. 00:56
반응형

김치, 지역별 김치종류 및 특징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김장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보통 11월말에서 12월중순까지 김장철이라고 하는데 지역마다 김장하는 시기는 조금씩 다를수는 있습니다.

 

 

김치는 한국의 대표음식중에 하나로 효능도 아주 좋아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에게도 인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 김치는 지역별로 쓰이는 재료도 다르고 종류도 가지각색이며 맛도 다르다고 합니다. 그럼 오늘은 지역별 김치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별 김치종류 및 특징>

● 서울/경기도

※특징: 김치에 넣는 젓갈을 주로 새우젓을 씁니다. 또한 국물이 많거나 뻑뻑하지않으며 간이 짜지도 싱겁지도 않습니다.

※종류: 보쌈김치, 깍두기, 배추김치, 오이김치 등

 

 

● 강원도

※특징: 싱싱한 생선류 재료를 쓰는것이 특징입니다. 배추와 무를 기본으로 생태, 오징어, 명태 등을 이용하여 김치소를 만듭니다.

※종류: 갓김치, 명태김치, 오징어김치, 백김치 등

 

 

● 충청도

※특징: 젓갈을 많이 쓰지않고 소금을 사용해 맛이 담백한 편이며 해산물과 채소를 사용해 담그는 것이 특징입니다.

※종류: 총각김치, 굴깍두기, 나박김치, 돌나물김치 등

 

 

● 경상도

※특징: 따뜻한 날씨에 김치가 빨리 시어지는 것을 막기위해 젓갈을 넣고 주재료를 소금에 절여 담급니다. 양념에는 고추가루와 마늘을 많이 넣어 맵고 자극적인 맛이 특징입니다.

※종류: 고추김치, 무말랭이김치, 미나리김치, 고들빼기김치 등

 

 

● 전라도

※특징: 해산물, 산나물, 채소 등 재료를 풍성하게 넣고 따뜻한 날씨로 시어지는 것을 막기위해 고추와 젓갈을 많이 쓰는데 젓갈은 멸치젓을 많이 쓴다고 합니다.

※종류: 깻잎김치, 갓김치, 동치미, 고들빼기김치 등

 

 

● 제주도

※특징: 겨울에도 싱싱한 채소를 구할수 있지만 섬이라 식재료가 귀하기 때문에 제주도 본연의 맛을 살리는 김치를 담그는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해산물을 넣은 김치를 많이 담근다고 합니다.

※종류: 톳김치, 전복김치, 청각김치, 당근김치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