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랙박스 메모리카드 포맷 방법
블랙박스는 차량 운행 중 상황을 녹화하는 중요한 장치로, 사고 발생 시 중요한 증거자료가 됩니다. 하지만 장시간 사용하거나 메모리카드 용량이 가득 차면 저장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요한 영상이 저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메모리카드 포맷이 필요합니다. 블랙박스 포맷은 단순히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카드를 초기화하여 성능을 유지하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과정입니다.
1. 포맷 전 확인 사항
- 중요 영상 백업: 포맷 시 메모리카드 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사고 영상이나 보존해야 할 자료가 있다면 반드시 먼저 백업해야 합니다.
- 블랙박스 모델 확인: 포맷 방법은 블랙박스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 설명서를 참고하거나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PC를 이용한 메모리카드 포맷 방법
가장 보편적인 포맷 방법은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절차]
- 차량에서 블랙박스의 전원을 끈 후 메모리카드를 안전하게 분리합니다.
- 컴퓨터에 SD카드 리더기를 연결하고, 메모리카드를 삽입합니다.
- 윈도우 탐색기에서 ‘내 PC’ → SD카드 드라이브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포맷’을 선택합니다.
- 파일 시스템은 블랙박스가 요구하는 형식(FAT32 또는 exFAT)으로 설정합니다.
- 대부분 32GB 이하: FAT32
- 64GB 이상: exFAT 권장
- ‘빠른 포맷’ 또는 ‘전체 포맷’을 선택합니다.
- 빠른 포맷은 빠르지만 표면 오류 검사는 하지 않음.
- 전체 포맷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메모리카드 상태 확인에 좋음.
- ‘시작’을 클릭하고 포맷이 완료되면, 카드를 꺼내 블랙박스에 재삽입 후 정상 인식 여부를 확인합니다.
Tip: 블랙박스 전용 SD카드 관리 프로그램(예: 삼성 SD카드 포맷터, 블랙박스 전용 유틸리티)을 사용하는 것도 안정성 확보에 도움이 됩니다.
3. 블랙박스 자체 메뉴로 포맷하기
최근 블랙박스는 기기 자체에 포맷 기능을 내장한 경우가 많습니다.
[절차]
- 블랙박스를 차량에서 켜고, 화면 또는 음성 안내 메뉴로 진입합니다.
- ‘설정’ → ‘시스템 설정’ → ‘저장장치 관리’ → ‘메모리카드 포맷’ 순으로 이동합니다.
- 포맷을 선택하면 블랙박스가 자동으로 카드를 초기화합니다.
- 포맷 후에는 자동 재부팅되며, 녹화가 정상적으로 재개되는지 확인합니다.
이 방법은 컴퓨터 없이도 간편하게 포맷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입니다.
4. 스마트폰 앱을 통한 원격 포맷
Wi-Fi 기능이 있는 블랙박스는 전용 앱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절차]
- 스마트폰에서 블랙박스 앱을 실행하고 블랙박스와 연결합니다.
- ‘설정’ → ‘저장장치’ 또는 ‘SD카드 관리’ 메뉴로 들어갑니다.
- ‘포맷’ 버튼을 눌러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 포맷 완료 후 블랙박스는 재시작되며, 앱을 통해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특히 운행 중 블랙박스를 재설정하거나 외부에서 포맷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합니다.
5. 정기적인 포맷의 중요성
메모리카드는 플래시 메모리 특성상 일정 횟수 이상 데이터를 쓰고 지우면 수명이 줄어듭니다. 또한 블랙박스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덮어쓰며 저장하므로, 정기적인 포맷 없이는 에러가 누적될 수 있습니다.
- 권장 포맷 주기: 2주 ~ 1개월에 1회
- 사용 환경: 장거리 운행, 진동 많은 도로에서는 더 자주 포맷 필요
마무리 팁
- 포맷 후에는 반드시 샘플 영상이 잘 녹화되는지 확인하세요.
- 블랙박스에서 “SD카드 오류” 메시지가 자주 발생하면 포맷이 필요하거나 카드 교체가 필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 항상 블랙박스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SD카드(고속, 고내구성)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유용한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연납신청 방법, 할인율, 기간 (1) | 2025.04.17 |
---|---|
골프 규칙, PGA 룰에 대해.. (0) | 2025.04.16 |
부동산 등기부등본 열람 방법 알아보기 (0) | 2022.06.03 |
jtbc 온에어 실시간 무료 시청방법 (0) | 2022.06.03 |
카드포인트통합조회, 통합포인트 알아보기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