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료 조회, 건강보험료 인터넷조회 알아보기
본인의 건강보험료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알고 계신가요? 특히 회사원들은 월급명세서를 보고 건강보험료가 많이 빠져나가는구나.. 단순히 이렇게 생각만하지 직접 조회해보는 분은 많지 않을꺼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내가 내는 건강보험료 쉽게 인터넷 조회하는 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료 조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홈페이지에서 조회하실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에 국민건강보험으로 검색해보겠습니다. 검색 결과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가 상단에 검색이 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건강보험료를 조회하기 위해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 있는 '민원신청' → '조회/발급' 을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눌러보니 공인인증서 로그인이 필요하다는 창이 하나 나타나게 됩니다. 역시 우리나라에선 본인인증 수단으로 공인인증서 만한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여기서 개인을 선택하신후 주민등록번호 입력후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을 눌러줍니다. 한번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을 해보겠습니다.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을 하니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접속됩니다.
우선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조회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중간 메뉴에 있는 '보험료 부과내역' 을 눌러줍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는 조회방법이 틀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아래 화면에 건강보험증번호가 바로 조회되며 상세내역으로 최대 6개월까지 쉽게 조회하실수 있습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건강보험료를 조회할수 있습니다. 저는 직장가입자라서 그런지 이 화면에서는 아무것도 조회되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조회하는 방법으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공인인증서 로그인까지는 그대로 하시면 됩니다.
'민원신청' → '조회/신청' → '공인인증서 본인인증' 후 아래 화면에서 '직장보험료 개인별 조회' 메뉴를 클릭합니다.
건강보험증번호, 사업장명칭, 취득일이 자동으로 조회되면서 년도별로 조회할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년도를 선택하신 후 '조회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건강보험료 조회가 됩니다. 저는 2017년 현재로 조회를 한번 해 보았습니다.
2017년 건강보험료 상세내역 조회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직 2017년도 1월달분 밖에 납부되지 않았기 때문에 1월달 납부내역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개인프라이버시로 인한 납부금액은 비공개 처리하였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조회,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조회 손쉽게 인터넷으로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제 블로그 보시면 누구나 쉽게 건강보험료 조회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유용한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택스, 주정차위반 과태료 인터넷조회 알아보기 (0) | 2022.06.03 |
---|---|
14일 데이, 14일 기념일, 14일 데이 명칭 의미 (0) | 2022.06.03 |
키움증권 공인인증서, 주식 공인인증서 재발급방법 알아보기 (0) | 2022.06.03 |
자동차검사 조회, 자동차 검사기간 조회 알아보기 (0) | 2022.06.03 |
전기매트, 온수매트, 온실매트 장단점 알아보기 (0) | 2022.06.03 |